일상이야기

전두엽과 운동 - 늙지 않는 뇌의 비밀

비즈니스 연구 2023. 1. 5. 12:41
반응형

★늙지 않는 뇌의 비밀 

 

전두엽을 자극해 뇌 노화를 막아라.. 

★★뇌의 기능부위
1300g : 전체 신체의 2% 차지


측두엽: 언어기능 담당
후두엽: 시각기능 담당
두정엽: 공간, 감각기능 담당
전두엽: 기억력 및 종합사고력 담당 ( 핵심기관 )


[기능별 구분]

대뇌: 이성을 주관
변연계: 감정조절, 동기부여- 정서반응과 운동반응을 담당한다. 
           편도체: 감정을 조절.
           해마: 정서와 관련된 기억을 담당

뇌간: 호흡과 순환을 담당


자신이 좋아하는일을 하는 사람의 뇌는
전두엽과 변연계의 신경연결이 활발하고 
신경전달 물질의 생성도 원활하다. 


전두엽: 노화에 취약, 노화는 인지기능의 감퇴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인지기능과 관련 

 

 

https://www.youtube.com/watch?v=D22mbUfAxx0 

 

 


 

 

https://www.youtube.com/watch?v=Rru-mV98E-c 


★ 전두엽 자극하는 뇌톡스 비법
왼손의 감각을 깨워라.. 


★ 전두엽의 기능

1. 운동기능
2. 동기창출
3. 기획과 계획
4. 충동억제


★ 전두엽 활성화 운동
어떤 운동이라도 전두엽 활성화에 도움된다.
손의 자극이 전두엽을 활성화시킨다. 
왼손을 사용해라.. 

★ 전두엽 활성화하는 손자극 1단계 
평소에 쓰지않던 손을 사용하는것이 전두엽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는 왼손을 써라..


★ 전두엽 활성화하는 손자극 2단계 
양손으로 글씨 쓰기
대칭이 되도록 양손 글씨쓰기 
(데칼코마니 처럼 거울에 비친 것처럼 양손 글자쓰기)

 

 







https://www.youtube.com/watch?v=UXgsQ6MiNCI 



[뇌과학]
우울한 일이 있을때 뇌의 회복력에 대한 테스트.. 
우울증이 있는 회복력이 느린 그룹은 섬엽이 활성화가 된다...



[뇌의 주의집중]
뇌의 주의 집중과 정서의 관계

마크 펜스크교수 (위너브레인 저자)


[위너 브레인] 
탄력성, 감정적 균형유지, 기억력, 집중력 

동기부여의 중요성..
복내측 전전두피질, 뇌앞쪽 줄무늬체와 같은 부분들의 많은 활동을 수반합니다. 

변연계 부분에서 나오는 신호들,
즉 편도체 뇌앞쪽 줄무늬체 복내측 전전두피질 등에서 나오는 신호들도
우리의 감정적 충동의 원인이 되는 부분이며
그것은 우리의 목적에 동기를 부여합니다. 
때로는 우리에게 최고의 득이 되지 않을지라도.. 



[뇌 사용방법]

브레인 짐.. 

뇌의 기능을 일깨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체의 움직임이 중요하다. 
두뇌의 기능을 강화하고 통합하기 위한 신체 운동 방법이 두뇌 체조라고 볼 수 있다. 

운동을 통한 근육의 형성은 뇌와 연결된다. 
운동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뇌혈관을 형성한다.
늘어난 혈류량과 함께 도파민, 세로토닌등의 신경전달물질이 증가해 우울증이 예방된다. 

풍족한 환경이 치매 발병을 좌우한다는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다.

풍족한 환경이 치매 발병에 대한 
스트레스 효과를 막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풍족한 환경 제공..



[치매 예방]
꾸준한 운동과 취미활동, 적극적인 여가생활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 

★운동의 중요성
퇴행성 뇌질환(치매,파킨슨,뇌졸증)을 예방할 수 있다. 


[음식과 뇌]

활성산소 없애는 색채가 있는 과일을 먹는다. 
진한색이 함유된 과일과 채소를 먹자.. 


[긍정의 힘]

인성교육을 위하여 칭찬 수업.. 
긍정적인 기대 심리는 편도체를 자극해 쾌감보상시스템을 작동시킨다. 


[도파민과 코티솔]

도파민 회로의 중심에서 흑색질을 자극해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면
우리는 즐거움과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반대로 나빠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면 
스트레스를 받은 편도체는
시상하부의 뇌하수체를 자극해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을 분비시킨다. 
이 호르몬이 혈액으로 흘러들어가 부신을 자극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분비된다. 


[감정과 전두엽 관련성]

부정적인 감정이나 정서가 늘면 
우리 전두엽이 다른 어떤 일을 하지 못하고 
그 감정을 조절하는 데 일을 해야한다. 

 

긍정적인 상태가 되면 
이 전두엽이 그걸 바탕으로 다른 일을 예측한다든지 
다른 방법을 찾는다든지 
이런 기능을 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별을 한 연인들이 지난 감정에 시달리며

감정에 휩싸여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꽤 많은데

전두엽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게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상태가 되도록 운동등을 통하여 뇌를 조절해야 한다. 

 

 




뇌세포 10조개.. 
BDNF는 기적의 뇌 성장인자로 신경세포의 거름이 된다. 
운동을 하면 거의 즉각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운동을 하면 기억력, 주의력, 의사결정력, 인지능력을 돕는 
뇌기능과 구조에 효과가 있다.

 


[ 운동 ]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매일할 수 있는 방법으로 뇌를 잘 활용해야 한다.

운동은 뇌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가장 필수적인 인간 행동이다. 
중요한 것은 뇌에 좋은 혈액을 풍부하게 전달하느냐의 문제..







 

 

반응형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202 미니멀라이프, 청소하기  (0) 2025.02.02
[책내용정리] 상실의 언어  (0) 2023.01.14
오래된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하세요.  (0) 2023.01.11
2023.1.3 (화)  (0) 2023.01.10
뽀삐, 미미  (0) 2023.01.07
아이패드 사양  (0) 2023.01.01
아이팟 받았다. [패스트캠퍼스]  (0) 2023.01.01
패스트 캠퍼스 수강하다.  (1) 2023.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