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

삼성직무적성검사 GSAT 언어 추리 영역

비즈니스 연구 2025. 2. 25. 23:51
반응형

삼성직무적성검사 GSAT 언어추리 영역

 

삼성직무적성검사 GSAT 중

언어추리 영역 문제를 풀어 보자.. 

 

언어추리 유형에는

1. 명제추리

2. 조건추리

두 가지 세부유형으로 출제된다.

조건추리가 조금 더 어렵다.

 

아래 문제는 언어추리 중 명제추리에 속한다. 

쉽게 풀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삼성그룹

 

 

 


 

 

전제:

1.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빨래를 좋아하지 않는다.

2. 설거지를 잘하는 모든 사람은 빨래를 좋아한다.

 

위의 전제를 읽고 반드시 참인 결론을 고르기.. 

 

예문 1 : 분리수거를 하는 모든 사람을 설거지를 한다.                

예문 2: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설거지를 잘하지 않는다.    

 

 


 

[ 해설 ]

전제 변환
▶전제 1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빨래를 좋아하지 않는다."
기호로 표현하면:
~P→~L (분리수거를 하지 않으면, 빨래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를 대우(contrapositive)로 바꾸면:
L→P (빨래를 좋아하면, 분리수거를 한다.)


▶전제 2   "설거지를 잘하는 모든 사람은 빨래를 좋아한다."
기호로 표현하면:
𝑆→𝐿 (설거지를 잘하면, 빨래를 좋아한다.)


 

 

[예문 1의 참/거짓 판단 ]  
예문 1 : "분리수거를 하는 모든 사람은 설거지를 한다."
즉, P→S가 반드시 참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가 가진 논리적 관계:
S→L (설거지를 잘하면, 빨래를 좋아한다.)
L→P (빨래를 좋아하면, 분리수거를 한다.)

그러나 이 관계만으로는 
P→S (분리수거를 하면 설거지를 한다)가 성립한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분리수거를 하는 사람(P)이 반드시 빨래를 좋아한다(L)는 보장이 없으며,(P→L)
빨래를 좋아한다고 해서 반드시 설거지를 잘하는 것은 아님.
(즉, L→S가 주어진 것이 아님.)

따라서, 예문 1은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예문 2 검토]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설거지를 잘하지 않는다."
즉, ~P→~S 가 반드시 참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논리적 검토]

우리가 가진 관계는:
S→L (설거지를 잘하면, 빨래를 좋아한다.)
L→P (빨래를 좋아하면, 분리수거를 한다.)

 

 

 

위의 두 논리를 연결하면:

S→L
L→P
따라서 
S→P (설거지를 잘하면, 분리수거를 한다.)

이제 대우를 취하면:

~P→~S

 

즉,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다면 설거지를 잘하지 않는다는 반드시 참이 됩니다.

 

 

[결론]

2번 예문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설거지를 잘하지 않는다."는 반드시 참입니다. ✅

 

 

 

반응형